구글서치콘솔에서 페이지에 대한 URL검사를 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문제 중 콘텐츠 폭과 클릭요소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URL검사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, 해당 사이트가 검색결과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큽니다.
이는 방문자 수와 광고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, 가능한 한 빨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.
목차
콘텐츠 폭이 화면 폭보다 넓음
콘텐츠폭이란 웹페이지에서 사용되는 글자의 수가 너무 많아서 한 줄에 글자가 너무 많이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.
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뷰포트 설정을 수정하여야 합니다.
- 티스토리 관리 > 스킨편집 >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.
- VIEWPORT 검색을 합니다.(Ctrl + F)
- 아래의 코드로 변경 후, 우측 상단의 적용 버튼을 이용하여 저장합니다.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initial-scale=1.0, width=device-width">
- 다시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와서 유효성검사를 진행합니다.
- 결과를 기다립니다.(몇일 소요됩니다.)
클릭할 수 있는 요소가 서로 너무 가까움
클릭요소란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말합니다.
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콘텐츠의 크기와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기기의 다양성 때문입니다.
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폭의 뷰포트를 해결하여야 합니다.
- 티스토리 관리 > 스킨편집 > CSS로 들어갑니다.
- 목록하단에 아래의 코드를 붙여넣기 해 줍니다.
/* Touch Screen Check */
.container a {
padding: .2em;
}
@media (any-pointer: coarse) {
.container a {
padding: .8em;
}
}
- line-height 검색을 합니다.(Ctrl + F)
- 줄 간격을 2.5로 변경합니다.
- 우측 상단의 적용 버튼을 이용하여 저장합니다.
- 다시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와서 유효성검사를 진행합니다.
- 결과를 기다립니다.(몇일 소요됩니다.)
반응형